반응형

 

우리 아이들의 수학에 대한
홈 스쿨링(Home-schooling)을 하는
모습/과정을 남기고픈 마음에
작성하게 된
포스팅입니다.

 

반응형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전후로...

 

연습장을 7~8권 사용해서 문제를 풀다보니

아이들이 어느 정도 사칙 연산에 대해서 

자신감도 생기고,

조금씩 수학이라는 거에 재미를 느끼게 되었을 때

아이들을 데리고 

서점에 갔다.

 

책을 사줄테니 같이 가보자는 명목하에

책방에 갔는데,

사실은 살살 꼬셔서

아이들이 풀어 보고 싶다고 할 만한 

문제집을 직접 골라서

숙제로 시키려는 속셈 이었다.

 

순진한 아이들은 책방에 가면 바로 옆에

문구점엘 갈 수 있다는 생각에 들떠 있었지만

나와 와이프는 그건 안중에도 없었다.

 

아이들이 직접 확인하고, 풀 수있다고 자신있게

얘기하는 문제집을 사려고 하는 이유는

아이들에게 자기들이 한 말에 책임을 지도록

유도해서 숙제를 꾸준히 하게끔 하기 위함이었다.

 

책방에서 초등학교 입학 전 수학 문제집 중에

몇 가지를 보여 주면서 

"너, 이거 풀수 있어? 풀 수 있겠어?"

라고 물어봤을 때,

"응, 당연하지"

라고 대답하기만 하면...

숙제 당첨~!!!!

 

 

나중에 혹시라도 풀기 힘들다, 어렵다, 하기 싫다고 하면,

"너가 지난번에 이거 살때 할 수 있다고 말했잖아~

그건 아빠랑 너와의 약속이었던거 아니야?"

라고 얘기하려고~ㅋㅋ

 

이렇게 해서 시작하게 된 문제집 풀이~ ㅋㅋㅋ

시작은 "소마셈" 이었다.

소마셈 문제집

 

연습장에 직접 문제를 만들어서 풀어보던거는 단순히

개념을 익히기 위함이었다면,

이제 부터는 실제로 학교에서 배워야 하는 과정과

가르치는 방법(?) 같은 것들에 관련된

문제를 문제집을 통해서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소마셈 문제집은 숫자에 대한 개념을 잡기에 충분히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문제도 많고,

유형도 다양해서 어느 정도 수준까지는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집에서 사칙연산은 어느 정도 숙제로 풀어 봤으니까

낮은 단계의 소마셈은 쉽게 할 수 있겠지~??? 했는데...

웬걸~

내가 만들어준 문제 자체가 유형이 너무 비슷했는지

아님, 연습장이아닌 문제집에 있는 문제라 익숙하지가 않아서 그랬는지

개념이 또다시 흔들리는 걸 볼 수 있었다.

알고 있는데도 모르겠다고 하기가 일쑤였고,

틀리는 것도 많았다.

 

일단은 어떻게든 매일 매일 일정한 양을 풀게끔 하였지만...

 

아... 얘는 수학은 아닌가~???

수학 머리가 있어야 잘한다고들 하던데... 얘는 그 수학 머리가 아직이거나 혹은 없는 건가?

라는 생각이 조금씩 들었다.

'어떻게 하지~' 라는 생각과 동시에

'아냐, 그래도 반복해서 문제를 풀다보면 알게 되겠지~'

라는 생각이 들면서

'포기하지 말고 가르쳐야 겠다

다시 처음부터~'

라고 속으로 다짐하며,

다시 하나하나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넌지시 물어봤는데,

아직 어리기 때문에 중학교 들어갔을때

판단해도 늦지 않다고 하니...

 

좀 더 힘내서 가르쳐 봐야 겠다.

(다음 포스팅에 계속 이어서 작성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